외암마을 특징

외암마을 특징

우리나라 전통마을과 외암마을

외암마을은 예안이씨 중심으로 구성 된 마을이다.
마을 앞쪽으로 넓은 농경지를 두고, 뒤로는 산이 병풍처럼 막아주는 사이의 구룡지에 자리잡고 있다.

이 마을이 처음에는 넓은 농경지로 인해 자연발생적인듯 하나 조선 중기에 이르러 예안이씨가 이 마을에 들어오면서 인물이 나타나자 점차 예안이씨 후손들이 번성하여 집성마을로 바뀌게 되었던 것이다.

이 마을은 입구의 물(다리)를 건너면서 약한 구릉지에 집들이 길을 따라 독특하게 자리잡고 있다. 마을 가운데로 안길이 있고 이 안길은 올라가면서 좌우로 샛길을 뻗치고 있다. 이러한 모양은 하늘에서 보면 마치 나무가지와 같이 큰줄기를 따라 올라가면서 작은 가지가 뻗고 가지 끝에 열매가 맺어 있는 것과 같은 자연형태와 같은 마을배치를 보여주고 있다.

자연스럽게 만들어진 듯한 마을이지만 거기에는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원칙이 있다. 즉 마을의 동북쪽에 위치한 산을 주산이라 하는데 주산인 설화산과 서남쪽에 위치한 봉수산을 잇는 긴 선이 이어지는 축선에 일정한 영역을 만들어 그 영역 안에 집들을 배치해 두었다. 마을의 전체적인 모양은 동서로 긴 타원형이다. 동북쪽의 설화산 자락이 마을에 이르러서는 완만하게 구릉을 만들면서 마을 앞쪽으로 흘러 내려간다. 따라서 서쪽의 마을 어귀는 낮고 동쪽의 뒤로 갈수록 높아지는 동고서저(東高西低)형상이다. 이러한 지형조건에 맞추어 집이 앉은 방향은 거의 서남향이다.

마을안의 물길

외암 마을에도 물은 매우 중요한 구성요소가 되고 있다.
외암마을에서 물은 크게 두가지 의미를 지니고 있다.

하나는 자연적인 형태로 보는 물이고, 다른 하나는 인공적인 형태로 보는 물이다. 자연적인 형태로 보는 물을 설화산 계속에서 마을 옆을 지나 하부로 흘러가는 실개천을 말하는데 풍수에서 이를 내수구(內水口)라고 한다.

인공적인 물은 마을 상부에서 물길을 인위적으로 터서 마을 안을 통과하도록 만든 물길이다. 이 물줄기는 마을 내 여러 집들을 통과하면서 생활용수로 쓰이고 마당을 지나면서 곡수(曲水)와 연못을 만들어 아름다운 정원을 꾸며 주기도 한다.

이 인공수로를 풍수에서 '염승(厭勝)'이라고 한다. 전통 오행(五行)사상에서 화(火), 물(水)은 서로 상극이다. 이 마을에서 주산인 설화산(雪火山)의 발음이 불을 상징하는 '화산(火山)'과 같다 이 때문에 옛 사람들은 마을에 그 '화'의 기운이 미칠 수 있다고 생각하여 마을내부에 화와 상극하는 '물(水)'을 끌어들여 '화'의 기를 제압하려고 했던 것이다. 자연에 순응하고 자연에 스스럼없이 적응해 나가기 위한 선조들의 빼어난 착상이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외암리 마을에서는 자연적인 건축요소를 활용하는데 있어 하나는 그대로 둠으로서 자연을 살리고, 다른 한편으로 이것을 인위적으로 이용함으로서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려 하였던 것이다.

살림가옥의 배치

대개 마을의 크기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기준을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면 집이 들어서는 땅의 지형조건과 주변의 산세, 주변의 농토, 마을 앞으로 흐르는 물의 량 등이다. 외암마을의 집들은 이러한 조건에 맞추어 배치 되었고, 오랜 시간을 거치면서 마을의 규모가 자연스럽게 설정 되었던 것이다.

예안이씨가 처음 들어와 살게 된 집의 위치가 명확하지는 않으나 대개 건재고택(영암군수댁)위치로 추측하고 있다. 건재고택은 마을의 중심을 지나가는 안길의 중간지점에 자리잡고 있어 이로 미루어 볼 때 건재고택을 기점으로 일가들이 전후좌우로 확산되어 갔을 것으로 보인다. 집을 지을때는 남측으로는 개천을 넘지 않고, 반대쪽 북측으로는 안길에서 개천 사이만큼을 확보하여 그 범위 내에 집을 짓게 되었다. 북쪽으로는 지형적으로 장애가 없어 더 멀리 집터를 잡아도 될 것이지만 안길에서 좌우로 적당한거리가 유지되고 마을의 모양새가 그런대로 보기가 좋아지는 것이다.

마을 입구는 개천을 건너는 다리를 시작으로 하고, 마을 끝은 마을 안으로 끌어들이는 인공수로가 시작되는 출발점을 개략적인 기점으로 삼았다. 인공수로가 감돌아 지나가는 마을 안은 주산인 설화산의 화기를 막아줄 수 있지만 인공로를 벗어난 지역은 설화산의 화기를 막지 못하므로 그 화(禍)를 피할 수 있는 수로의 출발점을 마을의 끝자락으로 삼았던 것이다.

외암가옥 옛모습 찾기

외암마을의 살림가옥 옛 모습 되찾기
사랑채, 안채, 문간, 사당, 부속채

가. 외암마을의 살림가옥 옛 모습 되찾기

대부분 옛 전통적인 목조 살림가옥으로 변모되었지만 얼마전까지만 해도 시멘트 블록개조된 집이 많았다. 많은 살림가옥들이 다시 지금과 같은 옛 모습을 되찾게 된 것은 전통민속마을로 지정된 이후 나라에서 많은 비용을 들여 옛 모습 되찾기 사업을 꾸준히 진행 해왔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마을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도 옛 모습을 되찾는데 커다란 도움이 되었다.
외암마을의 살림가옥 모습을 살펴보자.

나. 사랑채

사랑채는 살림가옥 중에서도 남자들이 주로 생활하는 '남성공간'이라 할 수 있다. 사랑채의 방을 꾸미는 것을 보면 보통 가운데 부분에 대청마루를 두고 그 좌우에 온돌방을 배치한다. 큰 사랑방에 이어 붙거나 혹은 뒤쪽에 작은 방을 하나 두기도 하는데 이 방은 주로 서책을 두어서 '책방'이라 한다.

마을에 사랑채가 있는 살림가옥은 모두 11가구이다. 이중 건재고택, 참판댁(큰댁), 송화댁은 처음지을때부터 양반집 모양으로 지었으나 이효숙 가옥은 근래에 다른곳에서 옮겨놓은 것이다. 참판댁(작은댁) 사랑채는 초가이지만 처음 지을 당시의 구조와 모양을 잘 간직하고 있다. 외암마을 양반집 사랑채는 대개 대청마루를 작게 만들고 좌우에 크고 작은 사랑방을 설치해 두었다. 그리고 전면에 퇴칸마루를 두었는데 전체를 마루로 하지 않고 한칸은 방으로 막아 두었다.

다. 안채

안채는 아낙네들이 집안살림을 주로 하는 '여성공간'이다. 일상적인 식사준비를 비롯하여 제사음식 준비, 길쌈 등 집안의 자질구레한 일들을 이곳에서 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사랑채보다 크게 만든다. 외암마을은 모든 가옥은 안채를 가지고 있다. 사랑채에 부엌을 두기는 어려워도 안채에 사랑방을 두면 조선시대 유교의 덕목으로 여겼던 남녀유별이 될 수 있었던 것이다.

외암마을의 대표적인 안채로 건재고택, 교수댁, 참판댁 큰댁 및 작은댁, 송화댁, 감찰댁(이동식가옥), 이준세가옥등이다. 이중 안대청이 제일 큰것은 감찰댁으로 3칸이다.

라. 문간채

문간채는 보통 양반집과 같이 규모가 큰 살림가옥에서 볼 수 있는데 간혹 규모가 작은 서민살림가옥에서도 보인다. 양반집 문간채의 경우 옛날에는 집안에서 지체가 비교적 낮은 하인들이 머물던 곳이었다. 서민들의 살림가옥에서 흔히 가족이 늘어나면 문간채를 더 지어 식구들이 사는 경우도 있다. 문간채는 바깥에서 가장 가까운 곳에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창고나 외양간을 붙여두면 농사일을 하는데 여러모로 편리하다.

문간채는 문이 있는 칸과 방 또는 마구간 등을 함께 설치하여 살림채 제일 앞쪽 바깥에 배치해 두었다.외암마을의 68가구중 문간채가 있는 가옥을 모두 28가구이다.

조경과 경관

자연을 대하는 마음과 '외암마을'의 조경

가. 자연을 대하는 마음과 '외암마을'의 조경

마을을 구성하고 있는 가장 중요한 것이 살림가옥이지만 그저 살림가옥만 모여있다고 마을이 제 모습을 갖추었다고 볼 수는 없다. 마을은 사람이 살아가는 거주공간인 살림가옥 외에 공동으로 사용하는 시설과 생명을 이어주는 농경지, 집과 집, 집과 농경지, 농경지와 농경지를 서로 이어주는 교통로, 경관을 부드럽게 해주고 공기를 맑게 정화시켜주는 숲과 수목 등이 한데 어우러질 때 마을의 모습이 제대로 갖추어 지는 것이다.

외암리 마을의 경관은 크게 '마을 밖'이라는 외부경관과 '마을 안'이라는 내부경관으로 구분된다. 외부경관은 다시 멀리 본 경관(원경)과 가까이 본 경관(근경), 마을 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조형물 등이 있다. 내부경관은 자연적인 조형물과 인위적인 조형물, 상징적인 조형물, 꾸며진 경관과 꾸며지지 않은 경관들이 자연스럽게 어울려 조화를 이루고 있음을 알수 있다.

나. 외암마을 밖의 조경(외부경관)

외암리 마을은 입구를 가로질러 흘러가는 개천으로 인해 '안'과 '밖'이 명확하게 구분된다. 개천의 다리를 건넘으로써 마을로 들어간 것이고, 다리를 건너지 않으면 아직 마을밖에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이 개천은 마을의 경계를 알려주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런 경계구분이 없는 마을에서는 마을 어귀 적당한 곳에 장승을 세우거나 솟대를 세워 자연스럽게 마을 경계를 표시하고 있다.

마을 후면에 해발 441m의 설화산이 우뚝 서있고, 그 산줄기가 동남쪽으로 흐르면서 몇 개의 가닥을 뻗어내려 마을 주변을 감싸듯 펼쳐져 있다. 그 산줄기 중 하나는 마을의 남쪽에 불쑥 쏫아 면잠산이 되었다. 면잠산의 한 능선이 북쪽으로 흘러 마을 앞쪽에서 작은 동산을 만든것이 바람동산이다.

마을로 진입하는 다리 앞에는 송덕비, 장승, 솟대가 세워져 있다. 마을 입구를 상징하는 표시 역할을 하는 것과 동시에 마을의 안녕과 질서를 지켜주는 신앙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기도 하다. 이 정려는 원래 다리를 건너 마을 안에 있었으나 옮겨져 지금의 위치에 자리잡고 있다. 정려 또한 선조의 선행을 누대에 걸쳐 모범으로 삼으려는 교육적 의미를 담고 있다.

다. 외암마을안의 조경

마을을 들어서면 가장 먼저 보이는 시설물이 물레방아와 정자이다. 물레방아는 노동공간으로 마을의 중요한 공동생활 시설물 중의 하나이다. 일정한 수량을 확보하고 있는 마을어귀에 위치하게 된 것이다. 정자를 경관이 수려한 곳에 지어 놓은 유희시설이지만 반드시 유희기능을 지니고 있는 것은 아니다. 농경지 가까이에 세운 것은 농민들이 힘든 농사일을 하다가 잠시 쉴수 있는 휴식장소로 이용하도록 배려한 것이다.

마을 안 경관은 안길을 중심으로 샛길들이 이어지면서 돌담과 집들이 다른 마을엣 쉽게 볼 수 없는 독특한 경관을 보여주고 있다. 마을의 거의 모든 담장은 돌담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마을의 지질구조는 땅 밑을으로 일정한 지층에 이르기까지 호박돌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 돌을 걷어내 경작지를 만들고, 집터를 확보하면서 걷어낸 돌로 담을 쌓은 것이다.

마을 안에는 2개의 정자나무(亭子木)가 있다. 하나는 마을 안길을 들어서면 샛길이 뻗어지는 고삳에 자리잡고 있고, 또 하나는 마을 후면의 가장자리인 개천 변에 있다. 안에 있는 것은 마을 동제나 마을 축제를 할때 이곳에서 제를 지내는 신성시되는 공간이다.

마을 안의 집들은 모두 사랑채와 대문채 사이의 사랑마당에 정원을 꾸며 놓았으며 각각 특색있는 정원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건재고택, 송화댁, 교수댁이 차지하고 있는 비중이 크고 이 마을의 대표적인 정원인 만큼 원래의 모습을 잘 보존하면 좋을 것이다.

라. 사당

사당은 돌아가신 조상의 위패를 안치하고 제사를 지내는 건물이다. 양반집에서는 별도로 사당을 두지만 서민주택에서는 마루방이나 안방 한쪽에 감실을 만들어 위패를 모셔두기도 한다.

조상숭배 사상이 강했던 조선시대에는 선조의 은덕을 고맙게 여겼기 때문에 집안에서도 주로 지대가 약간 높은 동측후면에 사당을 앉혔다. 외암마을에는 현재 외암선생 사당 외에 건재고택, 교수댁, 참판댁(큰댁), 참판댁(작은댁), 감찰댁(이동식가옥)에 사당이 남아 있다.

외암사당은 불천위 사당이다. 불천위 사당이란 국가에 큰 공을 세우거나 학문이 높은 학자가 죽으면 나라에서 후손 대대로 제사를 지내도록 허락한 사당이다. 외암 선생은 당시 학문이 뛰어나 나라에서 불천위를 허락하여 지금도 이 부의 제사를 지내고 있다.

마. 부속채

부속채는 살림가옥에서 긴용하게 사용되는 공간이다. 생활에 필요한 도구를 넣어두거나 특히 외암마을과 같은 농촌에서는 각종 농사용 도구를 넣어두는데 꼭 있어야 하는 공간이다.

옛날에 사용되었던 많은 종류의 도구가 이제는 사용되지 않고 대신 이것을 넣어두었던 곳은 창고로 활용되고 있다.기계화되면서 소를 기르던 외양간이 없어지고 대신 부속채가 자리잡게 되었다.

외암마을 살림지중에서 건물다운 부속채를 가지고 있는 가옥은 19곳이다. 구조는 대부분 목조초가이며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는 창고이며, 창고에 붙여 화장실을 두거나 세면실을 두는 경우도 있다.